제31조(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① 건설업의 사업주는 건설 일용근로자를 채용할 때에는 그 근로자로 하여금 제33조에 따른 안전보건교육기관이 실시하는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건설 일용근로자가 그 사업주에게 채용되기 전에 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제1항 본문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의 시간ㆍ내용 및 방법,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다.
건설업 기초안전보건 교육은 일용 근로자가 매일 사업장을 바꾸면서 일을 하게되는 경우 매일 신규교육과 특별안전교육을 받아야하는 관계로 발생하는 시간전 손실(2시간/일)을 막기 위해 4시간짜리 교육을 한번 받으면 그 이후 모든 사업장에서 신규교육을 면제해주는 제도로 운영되고 있는 제도 이다.
* 시행령 제40조(안전보건교육기관의 등록 및 취소)
① 법 제33조제1항 전단에 따라 법 제29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안전보건교육기관(이하 “근로자안전보건교육기관”이라 한다)으로 등록하려는 자는 법인 또는 산업 안전ㆍ보건 관련 학과가 있는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로서 별표 10에 따른 인력ㆍ시설 및 장비 등을 갖추어야 한다.
② 법 제33조제1항 전단에 따라 법 제31조제1항 본문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안전보건교육기관으로 등록하려는 자는 법인 또는 산업 안전ㆍ보건 관련 학과가 있는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로서 별표 11에 따른 인력ㆍ시설 및 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③ 법 제33조제1항 전단에 따라 법 제32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안전보건교육기관(이하 “직무교육기관”이라 한다)으로 등록할 수 있는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 한다.
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법」에 따른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으로서 별표 12에 따른 인력ㆍ시설 및 장비를 갖춘 기관
가. 산업 안전ㆍ보건 관련 학과가 있는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
나. 비영리법인
④ 법 제33조제1항 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요한 사항”이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교육기관의 명칭(상호)
2. 교육기관의 소재지
3. 대표자의 성명
⑤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안전보건교육기관에 관하여 법 제33조제4항에 따라 준용되는 법 제21조제4항제5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경우를 말한다.
1. 교육 관련 서류를 거짓으로 작성한 경우
2. 정당한 사유 없이 교육 실시를 거부한 경우
3. 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수수료를 받은 경우
4. 법 제29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 제31조제1항 본문 또는 제32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본문에 따른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위반한 경우
시행령관련 1항은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전체와 2항은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안전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교 이상의 학교는 교육기관으로 등록이 가능하다는 이야기고, 3항은 학교가 아닌 기관의 등록 사유에 대해 규정된다.
1. 안전보건공단
2. 특정기준(강사, 강의안, 시설 등)을 갖춘 시(법인) 등을 갖춰야 하고 , 등록 운영은 물론 교육과 관련된 위반사항이 있을때면 등록이 취소될 수 있다.
끝으로 시행규칙 28조를 살펴보면
제28조(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시간·내용 및 방법 등)
① 법 제31조제1항에 따라 건설 일용근로자를 채용할 때 실시하는 안전보건교육(이하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이라 한다)의 교육시간은 별표 4에 따르고, 교육내용은 별표 5에 따른다.
②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하기 위하여 등록한 기관(이하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기관”이라 한다)이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할 때에는 별표 5의 교육내용에 적합한 교육교재를 사용해야 하고, 영 별표 11의 인력기준에 적합한 사람을 배치해야 한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서 정한 사항 외에 교육생 관리 등 교육에 필요한 사항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교육기관의 교육은 교육규정(법 29조 ~ 31조)를 준수하여야 하고 각각의 별표는 교육시간, 교육내용, 교재, 강사기준 등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 관련된 안전보건교육규정은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
'관련법 해석 > 산업안전보건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법 제33조(안전보건교육기관) (0) | 2021.04.17 |
---|---|
산안법 제32조(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 (0) | 2021.04.15 |
산안법 제30조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의 면제 등) (0) | 2021.04.13 |
산안법 제29조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 3/3 (0) | 2021.04.11 |
산안법 제29조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 2/3 (0) | 202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