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이야기/안전업무 이야기 24

군부대 강의(군대내 안전사고 예방)

강원도의 지자체의 특성은 땅이 무지 넓은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와서 군부대 안전강의 요청이 왔다. 대부분 강의는 오지에 위치해있고, 이동소요시간이 길어 사실상 하루 시간을 내기가 어려운 편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거절하면 대부분 상황이 어렵다는 답변과 함께 강사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부탁하기에 외면하기도 쉽지 않고, 인근 부대와 일정 협조해서 2개 부대를 하루에 맞추면 오전/오후 나눠서 시행은 가능하다고 답변을 드리면, 대부분 더이상 전화가 오지 않았다. 그런데 며칠있다 또다시 전화가 왔다. 옆에 부대와 일정을 맞췄다고 와달라고 하셔서 차마 거절할수 없어 부랴부랴 일정을 맞추고 강의를 진행했다. 대상은 xx사단 군수지원대대(우리땐 정비대대, 보수대대라고 불리우는 2개 대대)와 군사경찰대..

군부대 안전강의

21년부터 행정안전부는 국민안전의식 향상을 위해 안전전문강사를 양성, 관리해왔다. 필자도 21년 이후 시설안전(작업안전)분야 강사에 등록되어 활동해왔으나, 공공기관 업무 특성상 겸직금지조항으로 인해 많은 활동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부턴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를 환원하는 차원에서 군부대 강의에 응하고 실시하기 시작했다. 최근 수도권의 모 정비대대를 다녀왔는데, 20여년전 군생활과 많은것이 바뀌어 있었다. 다행히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라던지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된거 같고, 항상 그렇듯 최대한 눈높이를 맞춰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혹시라도 안전교육이 필요한 군부대 인사장교님들 계시면 연락주시면 일정협의후 시행하겠습니다. 메일(seripus@네이버) 또는 오픈톡, 리플등의 방법으로 연락주시..

산재(업무상재해) 용어설명

흔히 산재처리 이야기하는데, 산재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보험법)의 명칭이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는 산재관련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산업재해보상보험업법 제5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업무상의 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ㆍ질병ㆍ장해 또는 사망을 말한다. 여기서 업무상의 재해는 개념은 산업재해보상보험업법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제37조(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 ①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부상ㆍ질병 또는 장해가 발생하거나 사망하면 업무상의 재해로 본다. 다만,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相當因果關係)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업무상 사고 가.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나 그에 따르는 행위..

안전보건업무 관련 사이트 모음

업무에 유용한 사이트 몇개 올려본다. (추가설명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예정) * 정부기관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 (moel.go.kr) 산업안전보건공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or.kr) - kosha guide 검색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KOSHA Guide | KOSHA Guide 법령정보검색 : 국가법령정보센터 (law.go.kr) *자격증 Q-net : Q-net 자격의 모든것 Q-net (산업안전지도사) : Q-Net 산업안전지도사 Q-net (산업보건지도사) : Q-Net 산업보건지도사 * 블로그 울산세이프티 : ulsansafety (tistory.com) (커리어우먼) 산업간호사로 살아가는 이야기(산업보건분야) : (커리어우먼) 산업간호사로 살아가는 이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