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이야기 33

청소노동자의 안전관리

최근 소속 회사의 청소 노동자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해서 관련자료를 찾아봤는데 마땅히 청소노동자들에 대한 사고나 안전관리 OPL 같은것이 많지 않은것을 알게 되었다. 청소노동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대부분 영세업체 2. 취약시기에 작업시작(새벽 등) 3. 고령 여성노동자 4. 도급인의 무관심(안전 불감) 5. 계단 화장실 등 장소 특성의 취약성 "그까짓 청소가 얼마나 중요하겠어?" 라는 생각으로 모두의 관심에서 벗어난 업무분야인 청소노동자의 안전관리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 때가 된거 같다. 청소 노동자는 통상 FM(Facility Management, 시설관리)분야로 불리우는데, 계단이나 화장실 습윤구역에서 미끄러짐 등 다양한 원인과 고령자로 인한 초기 대응이 늦은 배경원인, 도급인의 무관심..

안전 전문위원 활동

안전 전문가로써 정부와 지자체를 비롯한 각종 단체에서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거나, 대외 강의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데 24년 현재 참여하고 있는 실적을 정리해본다. [임기제] 1. 해양수산부 자문위원 2. 한국도로공사 자문위원 3. 남양주시 청렴감사위원 4. 한국전력 안전심의위원 5. 행정안전부 안전전문인력 6. 조달청 평가위원

산안법 궁금할때 국민신문고 활용하세요

가끔씩 산안법에 대해 원초적인 궁금증이 솟구칠때가 있다. 이럴땐 주변의 지인을 동원하기도 하고, 검색하기도 하고, 질의회시집도 찾아보기도하는데 직접 물어보는 방법을 소개할까 한다. 먼저 인터넷에 국민신문고를 검색해서 접속한다. 국민신문고 (epeople.go.kr) 국민신문고 초기화면에서 민원신청을 클릭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하면 글작성이 가능하다. 개인정보 창이 뜨면 동의를 누르고 질의를 한다. 궁금한 내용을 누르고 다음 버튼을 누르면 고용노동부에 직접 배정 또는 직접 선택하면 된다. 신청을 누르면 끝.

각종 평가심의 등에 대한 생각..

작년부터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 등 각종 평가, 심의 등의 인력풀에 등록하고 기회가 될때마다 참석하고 있다. 뭐 돌이켜보면 평가, 심의 이외에도 기술사, 지도사 시험출제도 해보는 등의 많은 경험을 했고, 지금 되돌아보면 그런 경험이 많은 도움도 되었다. 오늘은 간만에 심의 평가가 있어서 혁신제품 심의를 하러 조달청에 다녀왔다. 요즘 바쁘고 정신없는데 갈수록 능률도 안오르고, 리프레시 겸 하루 연차내고 오랜만에 대중교통을 탔다. 잊고 지냈을뿐 이미 세상은 가을가을 하고 있었다. 버스를 타고 ktx도 타고 지하철도 타고 ... 대전 청사에 도착 매번 헐레벌떡 늦다가 이번엔 10분정도 일찍 도착하여 자리를 정리하고 평가를 실시한다. 정말 좋은 아이디어로 많은 제품이 심사를 요청했고, 소신껏 결과를 기록했다...

군부대 강의 (군대내 안전사고 예방)

군부대 특성상 교통이 불편한곳에 있어 가급적 2개 부대를 묶어서 요청해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정비, 보급, 헌병등 특수병과 대대만 강의했는데 이번엔 일반보병 2개부대가 묶여서 요청이 왔다. (그만큼 휴전선에 가까운 부대다.) 그래도 타 부대와 똑같은 강의 돌려막기 할순 없고 부대 특성을 고려해 강의안을 수정했다. 교안을 만들어 각 부대 담당자에게 회신하고, 최종확인 및 모의강의 한번해보고 준비를 마친다.

군부대 강의(군대내 안전사고 예방)

강원도의 지자체의 특성은 땅이 무지 넓은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와서 군부대 안전강의 요청이 왔다. 대부분 강의는 오지에 위치해있고, 이동소요시간이 길어 사실상 하루 시간을 내기가 어려운 편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거절하면 대부분 상황이 어렵다는 답변과 함께 강사를 구하기가 어렵다고 부탁하기에 외면하기도 쉽지 않고, 인근 부대와 일정 협조해서 2개 부대를 하루에 맞추면 오전/오후 나눠서 시행은 가능하다고 답변을 드리면, 대부분 더이상 전화가 오지 않았다. 그런데 며칠있다 또다시 전화가 왔다. 옆에 부대와 일정을 맞췄다고 와달라고 하셔서 차마 거절할수 없어 부랴부랴 일정을 맞추고 강의를 진행했다. 대상은 xx사단 군수지원대대(우리땐 정비대대, 보수대대라고 불리우는 2개 대대)와 군사경찰대..

군부대 안전강의

21년부터 행정안전부는 국민안전의식 향상을 위해 안전전문강사를 양성, 관리해왔다. 필자도 21년 이후 시설안전(작업안전)분야 강사에 등록되어 활동해왔으나, 공공기관 업무 특성상 겸직금지조항으로 인해 많은 활동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올해부턴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를 환원하는 차원에서 군부대 강의에 응하고 실시하기 시작했다. 최근 수도권의 모 정비대대를 다녀왔는데, 20여년전 군생활과 많은것이 바뀌어 있었다. 다행히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라던지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된거 같고, 항상 그렇듯 최대한 눈높이를 맞춰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혹시라도 안전교육이 필요한 군부대 인사장교님들 계시면 연락주시면 일정협의후 시행하겠습니다. 메일(seripus@네이버) 또는 오픈톡, 리플등의 방법으로 연락주시..

산재(업무상재해) 용어설명

흔히 산재처리 이야기하는데, 산재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산재보험법)의 명칭이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서는 산재관련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산업재해보상보험업법 제5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업무상의 재해”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ㆍ질병ㆍ장해 또는 사망을 말한다. 여기서 업무상의 재해는 개념은 산업재해보상보험업법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제37조(업무상의 재해의 인정 기준) ① 근로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부상ㆍ질병 또는 장해가 발생하거나 사망하면 업무상의 재해로 본다. 다만, 업무와 재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相當因果關係)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업무상 사고 가.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나 그에 따르는 행위..

안전보건업무 관련 사이트 모음

업무에 유용한 사이트 몇개 올려본다. (추가설명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예정) * 정부기관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 (moel.go.kr) 산업안전보건공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kosha.or.kr) - kosha guide 검색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자료마당 | KOSHA Guide | KOSHA Guide 법령정보검색 : 국가법령정보센터 (law.go.kr) *자격증 Q-net : Q-net 자격의 모든것 Q-net (산업안전지도사) : Q-Net 산업안전지도사 Q-net (산업보건지도사) : Q-Net 산업보건지도사 * 블로그 울산세이프티 : ulsansafety (tistory.com) (커리어우먼) 산업간호사로 살아가는 이야기(산업보건분야) : (커리어우먼) 산업간호사로 살아가는 이야기 ..

이태원 압사사고를 통해 한번더 생각해보는 안전문화

100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했다.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빌며 몇자 적어본다. 사우디 메카의 성지순례나, 유명 연예인의 콘서트 장에서나 볼법한 일이 이태원 한복판에서 발생했다. 누구를 탓하고 누구를 원망하랴 그냥 다수의 군중의 의도치 않은 이동 모멘트가 한곳에 집중되어 발생한 사고일뿐... 당연히 없을꺼라 생각하면서 찾아봤지만(내가 못찾았을수도 있다. 제발 그러길 빈다.) 압사사고에 대한 안전메뉴얼은 없다. 그나마 2005년 상주 체육관 압사사고를 인용해 발행한 2018년의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메뉴얼정도.. 근데 여기에도 압사사고에 대한 언급은 딱 두번. 배경과 사고 목록에 언급하고 실질적인 지침은 전무하다. (아래 참고) 모두가 앞으로만 가려고 하고, 빠져나오고 싶어도 나올수 없는 상황이 닥치면, 단순하..

안전이야기 2022.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