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이야기 32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법규 위반 개선 사례집 수정사항

64p산안법 170조 > 산안법 시행규칙 170조65p산안법 170조 > 산안법 시행규칙 170조85p발끝막이판 규정 없음 (기준규칙 제13조 3항 추가)87p제목 난간대 설치 위치(x) 중간난간대 미설치147p비계설치 바닥 미끄럼방지 미흡(x) 비계 기둥 침하방지조치 미흡163p법규 87조(x) 제301조(전기 기계ㆍ기구 등의 충전부 방호) 173p위험요소 충돌(x) 맞음(o)204p제목 자동복귀형 미설치로 사고위험209p구내운반차는 차량계 건설기계가 아님(차량계 하역운반기계)216p검교정 기록표와 관련규정은 무관222p법령은 가스 보관시 캡씌우는게 아니라 운반시 씌우는것임

안전보건 법규 위반 개선 사례집

"안전보건 법규 위반 개선 사례집” 출간 (tistory.com) "안전보건 법규 위반 개선 사례집” 출간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법규 위반 개선 사례집 발간 K-HSE 실무자 협의체   1  발 간 사발 간 사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법규 위반 개선 사례집"이 드디어 발간되었습니ulsansafety.tistory.com 활동하고 있는 커뮤니티에서 (대표 : ulsansafety)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를 토대로 수많은 현장의 피, 땀, 눈물... 그리고 쏟아부은 돈을 토대로 위반 개선 사례집을 출간했다. 안전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우수사례는 금방 잊는데, 실패사는 두고두고 회자한다. 그래서 의미 있는 책이라 볼수 있다. 지금은 네이버기반 판매만 이뤄지고 있는데 ISBN코드등을 활용해 ..

아리셀 사고 관련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 결과 발표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 결과 발표 - 부처 브리핑 | 브리핑룸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 결과 발표안녕하십니까? 화성 공장 화재 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본부장 이정식입니다. 오늘 중앙사고수습본부 제3차 회의에서 논의한 외국인 근로자 및 소규모 사업장 안전 강화 대책 주요 내용과 지난 7www.korea.kr 중앙사고수습본부에서 아리셀 사고관련 3차회의 결과를 발표하였다. 노동계의 실망담긴 논평이 이어졌고 참고할만한 자료가 몇개 있어서 링크를 올려본다

2월 1일 부터 건설현장의 화장실 설치기준이 강화됩니다.

작년 10월 30일 공포된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따라 오늘부터 화장실 변기의 설치기준이 강화됩니다. [적용대상] 공사금액 1억원 이상의 건설공사 [준수사항] 1. 현장 부터 300m 이내에 화장실 설치 또는 이용조치(남녀 구분) 2. 관리자 지정 3. 남자 30명당 1개 이상, 여성 20명당 1개 이상 대변기 설치 또는 이용조치 건설근로자의 열약한 화장실 설치 상태에 개선을 가져올 수 있는 아주 좋은 제도 이다. 필자의 경우 안전보건대장(특히 공사안전보건대장)을 검토할때 화장실 및 위생시설에 대한 내용을 꼼꼼히 확인한다. 화장실 설치기준 강화관련 고용노동부 보도자료(클릭) 보도자료 원본링크를 남겨본다. 내년 2월 1일부터 건설현장의 화장실 설치기준이 강화됩니다. | 고용노동부> ..

건설업 안전보건대장에 대한 기본개념

2020년부터 건설업에서 갑자기 튀어나온 제도가 있다. 바로 "안전보건대장"이다. 대장 하면 군대에서 4스타( ★ ★ ★ ★ )계급을 떠올렸으나, 이젠 법정사항으로 정해져있다.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대상은 간단하다. 다음 세가지 조건을 모두만족 해야한다. 1. 총공사금액 50억 이상인 공사 2. 20년 1월 16일 이후 설계계약을 체결한 공사 3. 19년 6월 1일 이후 입찰공고를 하는 공사 즉, 위 세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되지 않으면 안전보건대장은 작성할 의무가 없다. 안전보건대장은 "기본안전보건대장", "설계안전보건대장", "공사안전보건대장" 각각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의 관계는 할아버지 - 아빠 - 아들의 관계와 같다. 할아버지가 없이 아빠가 없듯 안전보건대장도 "기본안전보건대장"이 있어야 "..

(건설업) 상시근로자수 산정하는 방법

안전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상시근로자수에 대한 질의를 자주 접하곤 한다. "상시근로자"는 단어 자체만 놓고 보면 '상시로 일하는 근로자수이므로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닌거 같은데 ...' 라는 생각을 하곤 하지만, 막상 일을 하다보면 복잡한 개념이 아닐까 생각된다. 먼저 "상시근로자"에 대해 정의한 법령은 생각보다 꽤 많은 편이다. 2024년 1월 현 법령에 "상시 근로자"를 정의하거나 언급한 법령은 344개나 된다.(하위 규정 포함)이렇게 많은 법중에서 "상시 근로자"는 어디서 어떻게 얽메였는지 찾는 것은, 수많은 노무사들과 노무법인에서 해석했으니 그런자료는 네이버 에서 "상시근로자"로 검색만 해도 무난하게 찾을 수 있다. 이중 가장 근본이 되는 법령은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7조의2(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

안전이야기 2024.01.29

청소노동자의 안전관리

최근 소속 회사의 청소 노동자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해서 관련자료를 찾아봤는데 마땅히 청소노동자들에 대한 사고나 안전관리 OPL 같은것이 많지 않은것을 알게 되었다. 청소노동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대부분 영세업체 2. 취약시기에 작업시작(새벽 등) 3. 고령 여성노동자 4. 도급인의 무관심(안전 불감) 5. 계단 화장실 등 장소 특성의 취약성 "그까짓 청소가 얼마나 중요하겠어?" 라는 생각으로 모두의 관심에서 벗어난 업무분야인 청소노동자의 안전관리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 때가 된거 같다. 청소 노동자는 통상 FM(Facility Management, 시설관리)분야로 불리우는데, 계단이나 화장실 습윤구역에서 미끄러짐 등 다양한 원인과 고령자로 인한 초기 대응이 늦은 배경원인, 도급인의 무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