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최근 소속 회사의 청소 노동자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해서 관련자료를 찾아봤는데 마땅히 청소노동자들에 대한 사고나 안전관리 OPL 같은것이 많지 않은것을 알게 되었다.
청소노동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대부분 영세업체
2. 취약시기에 작업시작(새벽 등)
3. 고령 여성노동자
4. 도급인의 무관심(안전 불감)
5. 계단 화장실 등 장소 특성의 취약성
"그까짓 청소가 얼마나 중요하겠어?" 라는 생각으로 모두의 관심에서 벗어난 업무분야인 청소노동자의 안전관리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 때가 된거 같다. 청소 노동자는 통상 FM(Facility Management, 시설관리)분야로 불리우는데, 계단이나 화장실 습윤구역에서 미끄러짐 등 다양한 원인과 고령자로 인한 초기 대응이 늦은 배경원인, 도급인의 무관심과 청소용역 업체의 부실함이 복합적으로 초래한 사고의 피래는 고스란히 고령의 청소노동자들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다.
728x90
'안전이야기 > 안전업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 1일 부터 건설현장의 화장실 설치기준이 강화됩니다. (0) | 2024.02.01 |
---|---|
건설업 안전보건대장에 대한 기본개념 (0) | 2024.01.31 |
안전 전문위원 활동 (0) | 2024.01.10 |
산안법 궁금할때 국민신문고 활용하세요 (0) | 2024.01.02 |
각종 평가심의 등에 대한 생각.. (0) | 2023.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