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조(관리감독자)
사업주는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ㆍ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이하 “관리감독자”라 한다)에게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관리감독자는 「건설기술 진흥법」 제64조제1항제2호에 따른 안전관리책임자 및 같은 항 제3호에 따른 안전관리담당자를 각각 둔 것으로 본다.
참고로, ※ 건설기술진흥법 제64조(건설공사의 안전관리조직) 을 살펴보면
①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건설사업자 및 주택건설등록업자는 다음 각 호의 사람으로 구성된 안전관리조직을 두어야 한다. <개정 2019.4.30>
1. 해당 건설공사의 시공 및 안전에 관한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는 안전총괄책임자
2. 토목, 건축, 전기, 기계, 설비 등 건설공사의 각 분야별 시공 및 안전관리를 지휘하는 분야별 안전관리책임자
3. 건설공사 현장에서 직접 시공 및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안전관리담당자
4. 수급인(受給人)과 하수급인(下受給人)으로 구성된 협의체의 구성원
산안법에서는 관리감독자의 업무를 시행령 제15조(관리감독자의 업무 등)에 규정하고 있다.
1. 사업장 내 법 제16조제1항에 따른 관리감독자(이하 “관리감독자”라 한다)가 지휘ㆍ감독하는 작업(이하 이 조에서 “해당작업”이라 한다)과 관련된 기계ㆍ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ㆍ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
2.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ㆍ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ㆍ사용에 관한 교육ㆍ지도
3.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4. 해당작업의 작업장 정리ㆍ정돈 및 통로 확보에 대한 확인ㆍ감독
5. 사업장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의 지도ㆍ조언에 대한 협조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산업보건의 (전문기관의 담당자를 포함)
6. 법 제36조에 따라 실시되는 위험성평가에 관한 다음 각 목의 업무
- 유해ㆍ위험요인의 파악에 대한 참여,
- 개선조치의 시행에 대한 참여
7. 그 밖에 해당작업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사업주는 관리감독자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와 동등한 수준으로 지원을 해야한다.
'관련법 해석 > 산업안전보건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안법 제18조(보건관리자) (0) | 2021.02.03 |
---|---|
산안법 제17조 (안전관리자) (0) | 2021.02.02 |
산안법 제 15조 (안전보건관리책임자) (0) | 2021.01.27 |
산안법 제 2장 산업안전보건관리체제 등 (0) | 2021.01.26 |
산안법 제13조(기술 또는 작업환경에 관한 표준) (0) | 2021.01.26 |